풍자와해학

본문 바로가기

풍자와해학

풍자와해학

민속놀이는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하회별신굿 탈놀이는 지배계층인 양반과 선비의 허구성을 폭로함
으로써 계층간의 관계를 극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중의 파계를 통하여 당신 불교의 타락상과 종교의 허구성을 비판하며, 상민들의 삶의 애환을 풍자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별신굿 탈놀이를 통하여 상민들은 세상살이를 풍자(諷刺)하고, 자신들의 억눌린 감정을 거리낌없이 마음껏 발산 할 수 있었다.
신분질서가 엄격했던 당시의 사회상으로 볼 때 지배계층의 비판으로 일관된 탈놀이가 하회라는 양반마을에서 양반들의 묵인 하에 또는 경제적인 지원속에서 연희된 것이다
이것은 상민들은 탈놀이를 통하여 자신들의 억눌린 감정과 불만을 해소할 수 있으며 양반들은 상민들의 비판과 풍자를 통하여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 불만을 해소시켜 줌으로써 갈등과 저항을 줄여 상하간의 조화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별신굿이라는 마을공동체 신앙에 포함되어 연희되던 탈놀이의 과정을 통하여 공동체 내부에 내재되어 있는 계급간의 모순과 갈등의 문제점들이 완충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것이 새롭게 공동체의 기존체계를 더욱 강화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굿빌더
상단으로 이동